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시스템 동파방지열선 작동원리, 계통, 구성, 부속 안녕하세요 일시블맨입니다. 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 설비공사를 하다 보면 가장 먼저 걱정되는 것이 동파입니다. 동파는 야외에 설치되는 물배관에는 필수적으로 시공해야 하는 설비이죠. 이번에는 220v로 콘센트 타입의 열선이 아닌 판넬과 키트가 설치되어 광범위하게 설치된 배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 동파방지열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시스템 동파방지열선의 작동원리 시스템 동파방지열선의 작동원리는 간단합니다. 사실 열선이라는 것이 온도를 감지하고 작동되는 쉬운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아래 그림을 통해 설명을 들으시면 바로 이해가 가능할 것입니다. 먼저 ①온도센서에서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②열선판넬에 전달합니다. 이때 설정된 온도 이하가 센서에서 감지되면 판넬은 전원을 ③ 파워커넥션 키트로 공급하.. 2024. 2. 2.
압력탱크(급수용 팽창탱크)의 역할, 구성, 원리, 설치방법 안녕하세요. 일시블맨입니다. 오늘은 지난 팽창기수분리기에 이어 압력탱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압력탱크는 팽창탱크는 외관상 비슷하지만, 설치하는 목적과 적용되는 배관 시스템은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탱크의 원리, 용도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압력탱크란 압력탱크는 부스터펌프를 사용하는 급수배관에 사용되는 장비로써, 펌프의 토출 측에 설치되는 밀폐형 탱크로 펌프가 정지 시 배관의 압력변화를 완충하고, 일정량의 급수를 가능케 하여 배관 시스템을 보호하는 탱크입니다. (※ 급탕 및 공조배관에 사용되는 팽창탱크와는 다르며 부스터펌프의 급수배관에만 설치되므로 급수용 팽창탱크라고도 합니다.) 2. 압력탱크의 용도 및 역할 위 정의에 이어 압력탱크의 용도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 2024. 1. 20.
RT(냉동톤), usRT(미국냉동톤), CRT(냉각톤), 제빙톤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일시블맨입니다. 금일은 건축설비 중 특히 냉난방 시스템의 장비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위인 RT(냉동톤), usRT(미국냉동톤), CRT(냉각톤), 제빙톤 등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각 단위들이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단위환산이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1. RT (냉동톤) RT는 Ton of Refrigeration의 약자이며, 냉동톤이라고 부릅니다. 이 냉동톤의 정의을 알아보면 1RT는 24시간 동안, 표준기압(1atm)에서 0℃ 순수 1ton[1,000kg]을 0℃ 얼음으로 얼릴 때 필요한 열량을 의미합니다. 쉽게말해 24시간 동안 0℃ 물 1ton을 0℃ 얼음으로 냉각시킬 때 필요한 열량으로도 이해하면 됩니다. 물이 얼음이 되는 상변화 과정에서는 응고잠열이 발생하며, 이는 33.. 2024. 1. 15.
2-Way Valve(2방변)과 3-Way Valve(3방변)의 원리, 구성, 기능 안녕하세요. 일시블맨입니다. 오늘은 건축설비에서 많이 사용되는 밸브 중 하나인 2 Way Valve(2방변)과 3 Way Valve(3방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기계실에서 장비에 인입 전 여러 배관에서 설치되거나, 또는 저수조에 시수가 들어갈 때도 설치가 되는데요. 이번 기회에 각각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작동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WAY VALVE(이방변)의 개념 2-WAY VALVE는 이름 그대로 2개의 관로가 있는 밸브를 뜻합니다. 즉 유체가 밸브에 인입 후 반대 쪽 토출 되도록 구성이 되어 있는 밸브를 2-WAY VALVE(또는 이방변)라고 합니다. 2-WAY VALVE는 정말 간단한 볼밸브부터 정수위조절밸브에 들어가는 솔레노이드 밸브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존.. 2024. 1. 14.
팽창기수분리기 용도, 구성, 원리, 계통, 설치 방법 안녕하세요. 일시블맨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열교환기에 이어 냉난방 순환 계통에 설치되는 팽창기수분리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이번 현장에서 지역난방 시스템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열교환기와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는 팽창기수분리기를 보고 어떠한 용도인지 궁금했고, 어떻게 작동하는 것인지 원리가 궁금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 된 점을 잘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팽창기수분리기의 용도, 역할 팽창기수분리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2개의 기능이 합쳐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팽창탱크의 기능, 두 번째는 기수분리기의 기능이죠. 또한 이 두 개의 기능 외 보급수 공급의 기능도 있습니다. 그러면 냉난방 계통에서 팽창기수분리기의 세 가지 역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관수 내 .. 2024. 1. 9.
지역난방 콤팩트 열교환기 구성, 원리, 계통,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일시블맨입니다. 오늘은 지역난방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인 콤팩트 열교환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시작하기 전 "열교환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열교환기는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를 가지고 서로 다른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뜻합니다. 말이 조금 어렵지만 겨울철 손이 시려울 때 손난로를 만지면 손이 따뜻해지듯이, 어떤 유체의 온도를 높이고 싶을 때 더 높은 온도의 다른 유체를 교차 또는 순환시켜 열을 교환(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유체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켜 주는 장비입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고 콤팩트 열교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콤팩트 열교환기의 설치 목적 및 용도 콤팩트 열교환기의 용도는 지역난방 시스템이 적용되는 공동주택 또는 상가 등 .. 2024. 1. 7.
열기관, 열효율, 열펌프, 성적계수(COP), 통합성능계수(IPLV)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열기관 또는 열펌프(히트펌프)의 성능 또는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열효율, 성적계수, 통합성능계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현장에서 냉동기를 입고 시킬 때 항상 확인하는 것이 바로 성적계수와 같은 장비 스펙인데요. 이번 시간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1. 열기관(Heat Engine)과 열효율1) 열기관 열기관이란 "높은 온도의 고열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저열원으로 열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쉽게 말해서 고열원에서 저열원으로 이동하며 방출된 열에너지를 일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라고 이해하면 된다. 열기관의 예로는 자동차의 디젤엔지, 가솔린 기관, 증기기관 등이 있다. 보통 고열원에서부터 공급받은 열을.. 2023. 10. 2.
밀도, 비체적, 비중량, 비중 개념 및 단위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냉동공학과 건축설비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인 밀도, 비체적, 비중량, 비중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 이 4 가지의 개념은 살아오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지만 정확한 개념을 헷갈리거나 혼동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다시 개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밀도 (Density) 밀도란 단위 부피당 질량을 뜻한다. 물질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며 "ρ" (rho 로) 또는 "d" (density)로 나타낸다. 국제 표준단위는 kg/㎥이며 아래 수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ρ, d : 밀도 [kg/㎥] m : 질량 [kg] V : 부피 [㎥] 위 수식을 밀도를 국제표준 단위인 [kg/㎥]으로 나타낸 것이지만 여러 가지 단위 환산을 하면 아래와 같다. 2. 비체적 .. 2023.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