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설비

배수의 방식 (옥외 부대토목배관에 연결, 합류식, 분류식)

by 일시블맨 2023. 9. 17.

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배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발생한 배수는 건축물 외부 지하에 매립되어 있는 옥외토목관로와 하수도관에 연결이 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건축물 내에서 발생한 배수들이 어떻게 옥외로 연결되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분류식 또는 합류식의 배수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배수의 흐름 및 공종별 시공범위

먼저 합류식과 분류식 등 배수 방식을 이해하기 전에 건축물 내에서 이용된 물이 어떻게 하수종말처리장까지 흘러가게 되는지 흐름을 한번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화장실 세면기 → ② 건축물 내 배수관 → ③ 건축물 외부 토출배관(1m) → ④ 부대토목 오수받이 →  ⑤ 부대토목 오수맨홀→ ⑥ 부대토목 오수관 → ⑦ 하수도 오수맨홀 →  ⑧ 하수도 오수관 → ⑨ 오수처리시설 → ⑩ 방류

 

위는 개략적인 아파트(공동주택) 배수의 흐름입니다. 몰론 물사용지점이 단독주택인 경우 ⑤ 부대토목 오수맨홀을 삭제하고 바로 오수받이에서 하수도 오수맨홀로 방류할 수도 있지만 일단 공동주택의 흐름으로 설명하겠습니다. ① 세면기부터 ⑩ 방류까지 총 3 가지의 색상으로 음영처리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공사 또는 관리하는 주체에 따라 나눈 것이므로 아래와 사진과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배수의-흐름도-및-공종별-시공-범위
사진 1. 배수의 흐름도 및 공종별 시공 범위

1) 건축설비 공사 : ① 세면기 ~ ③ 건축물 외부 토출배관 1m

사용개소에서 건축물 내부의 배수관을 거친 후 외부에 배관을 1m를 까지만 토출 시켜 시공함.

 

2) 부대토목 공사 : ④ 부대토목 오수받이 ~ ⑥ 부대토목 오수관

건축설비공사에서 뽑아 1m 놓은 배관에서 연결하여 부대토목오수받이 - 부대토목맨홀을 거쳐 부대토목 오수관을 통하여 건축물 대지 밖에 매립되어 있는 하수도 오수맨홀까지 연결한다. (사진 2)

 

3) 지자체(하수도과 등) : ⑦ 하수도 오수맨홀 ~ ⑩ 방류 

 건축물에서 받은 오수를 하수도 오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여 처리 후 방류한다.

설비-1m-토출배관과-부대토목오수받이와-연결
사진 2. 설비 1m 토출배관과 부대토목오수받이와 연결

위와 같이 크게 3개의 시공, 관리 주체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2. 부대토목배관에 연결 구분 (오수, 우수)

위 사진 1번에서 볼 수 있듯이 건축물 내에서 나오는 배수(오수, 우수)는 부대토목배관과 연결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토목우수배관토목오수배관연결될 배수를 잘 구분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추후 설명드릴 분류식 배수방식 적용 시 우수와 오수를 구분하여 하수처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준공 전 지자체에서 집수정 등에 염료를 타서 실제로 우수관로에 오수가 나오는 오접합은 없는지 확인하기도 합니다. 지난번 구분하였던 배수의 종류별로 토목우수배관인지, 토목오수배관인지 구분해 보겠습니다.

 

1) 부대토목오수배관에 연결해야할 설비 토출 배관

  • 오수관
  • 잡배수관
  • 주차장 트렌치 집수정 펌핑배수관
  • 패키지펌프(졸러펌프) 펌핑오수관

2) 부대토목우수배관에 연결해야할 설비 토출 배관

  • 우수관 (옥상 우수 등)
  • 조경배수관
  • 영구배수 집수정 펌핑배수관

이렇듯 오염된 물 경우에는 토목오수배관에 묶이고, 지하수 및 우수와 같은 깨끗한 물은 토목우수배관에 묶이게 됩니다. 따라서 부대토목공사 시 1m 토출 시켜놓은 설비 배관 중 토목오수배관으로 묶여야 할 우수배관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관에 별도의 표기 및 사전 협의를 해야 합니다.

설비-옥외토출배관-종류별-부대토목배관-연결-오수-우수-구분
사진 3. 설비 옥외토출배관 종류별 부대토목배관 연결 오수, 우수 구분

 

3. 분류식과 합류식

배수의 방식은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분류식과 합류식으로 나누게 됩니다. 

 

1) 분류식 하수도 : 오수와 우수를 각각 다른 하수관으로 흘러가게 하는 방식

구 분 분류식
장 점 - 오수관로의 크기가 작다. (유량을 나눴기 때문에)
- 오수를 하천에 직접 방류하지 않는다. 
단 점 - 강우 초기에 도로와 공기 중 오염물질이 하천에 방류된다.
  (우수는 바로 방류하기 때문에)
- 오수관과 우수관의 오접합이 발생할 수 있고, SSos가 발생한다.
시설계획 - 계획하수량 : 계획시간최대 오수량
- 최소유속 : 0.6 m/s

※ SSOs : 분류식에서 오수관, 맨홀로 불명수가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하천에 방류되는 것

 

2) 합류식 하수도 : 오수와 우수를 하나의 하수관으로 묶어 함께 흘러가게 하는 방식

구 분 합류식
장 점 - 침수 다발지역에 유리하다
- 분류식 하수도에 비해 공사가 쉽다. (하수관이 합류관 1개이므로)
단 점 - 빗물과 함께 오수 일부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CSOs가 발생한다.
- 비가 오면 하수처리장 수질이 불규칙하다.
시설계획 - 계획하수량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 계획우수량
- 최소유속 : 0.8m/s 

※ CSOs : 합류식에서 우천 시 처리용량 초과로 빗물이 유입되어 하수의 일부가 처리되지 않고 하천에 방류되는 것

분류식-하수도-및-합류식-하수도-그림
사진 4. 분류식 하수도 및 합류식 하수도 (출처 : 한국환경공단)


이렇게 하여 이번에는 배수의 사용지점부터 하수처리장까지의 흐름도 및 설비 옥외토출 배관과 토목배관의 연결구분, 그리고 분류식과 합류식 하수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에 언급된 조경배수, 영구배수 등과 같이 배수의 종류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 클릭 부탁드리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2023.09.17 - [1. 공부/1) 건축설비] - 배수의 종류(잡배수, 오수, 우수, 조경배수, 영구배수, 특수배수)

 

배수의 종류(잡배수, 오수, 우수, 조경배수, 영구배수, 특수배수)

안녕하세요. 오늘은 배수의 종류와 방식에 대해 한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길거리를 걷다 보면 바닥에 동그란 맨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 맨홀을 유심히 보면 "오수" 또는 "우수"

1sible.tistory.com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